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의학칼럼

[기고] 벨 마비(말초성 안면신경마비)에 대하여
[기고] 벨 마비(말초성 안면신경마비)에 대하여
정지종| 2025-02-03| 조회수 : 2983

자고 일어났더니 한쪽 눈이 감기지 않고 입이 한쪽으로 돌아갔다고 하면서 내원하는 환자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은 안면신경마비 증상으로 말 그대로 안면신경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어 발생하는 증상이다.

안면신경의 역할은 우리 얼굴의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다시 말해서 표정을 지을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 주된 역할이다. 그외 침을 분비하거나 미각, 청각에도 관여한다.

 

안면신경은 연수뇌교 부위에서 빠져나와 두 개강 내에서 귓속으로 들어간 후 귀 앞 뼈 구멍을 통해 귀 밖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후 여러 갈래로 나뉘어 안면부 여러 근육, 침샘, 혀 등에 분포하게 된다.

안면신경마비는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데 그 중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벨 마비 이다.

 

벨 마비는 원인을 알 수 없는 말초성 안면신경마비로 말초성 안면신경 마비의 50~80% 빈도를 차지한다. 원인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안면마비를 일으킬 수 있는 다른 원인이 존재하지 않을 때 벨 마비로 진단하게 된다.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단순포진바이러스 등에 의한 염증성 탈수초 신경염이 원인일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벨 마비 발생 전 감기증상, 근육통, 안면부의 저린감이나 이상 감각, 오심, 구토, 설사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벨 마비가 발생되고 동반될 수 있는 증상으로는 안면통, 귀 뒤 통증, 청각 과민, 이상 미각, 눈물 감소 등이 있다.

 

벨 마비의 예후는 75~80% 정도에서 완전 회복이 이루어지고 10% 정도에서 부분 회복, 나머지에서 마비가 그대로 지속되는 경우이다. 벨 마비 발생 후 2~3주에 걸쳐서 회복되는 소견이 보이면 완전회복 가능성이 높고 3주 이상 시부터 호전 소견이 보일 경우 완전 회복 가능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벨 마비 발생 시작 시 완전마비 형태로 발생되었을 때 50% 정도에서 완전회복이 기대된다. 벨 마비가 처음에 불완전 마비로 발생되었고 완전마비로 진행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거의 100% 완전회복이 이루어진다. 반면, 불완전 마비로 발생되었고 완전마비로 진행이 된 경우에는 25% 정도만이 완전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그 밖에 예후가 좋지 않을 수 있는 조건으로는 청각과민 ,눈물 감소, 안면통, 귀 통증 증상이 동반되고 60세 이상의 나이에서 발병, 당뇨병, 고혈압이 있는 경우이다.

 

벨 마비 시 눈을 제대로 감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눈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낮에는 인공누액을 사용하고 밤에는 안연고를 바르는 것이 좋으며 밝은 조명이나 직사광선을 피하고 부득이한 경우 선글라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벨마비 발생 초기에는 스테로이드 복용이 중요하며 특히, 벨 마비와 동반된 통증 감소에 효과적이다. 완전마비, 불완전마비에 따라 스테로이드 복용 기간이 달라지며 반발성 염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인이 스테로이드 복용을 갑자기 중단해서는 안 된다.

 

 

 

벨 마비 역시 대상포진 질환과 같이 바이러스성 염증성 신경염이 원인일 것으로 추정 되는 바, 예방을 위해서는 과로, 스트레스를 피하고 숙면 취하기, 면역력을 높이는 식사나 운동을 지속하는 등 평소 체력 관리가 중요하다.

 

  [기고] 벨 마비(말초성 안면신경마비)에 대하여 첨부 이미지 

  <신경외과 백원철 과장>



  • 담당자기획홍보팀
  • 문의전화 041-689-7042